가상화폐 테더(Tether)로 비트코인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상승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미국 마켓워치와 로스엔젤레스타임즈 등은 존 그리핀 텍사스대학교 교수 등이 작성한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텍사스대 연구원들은 보고서를 통해 “테더가 비트코인 가격을 안정시키고 조작하는 용도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테더가 많게는 한 번에 2억개씩 발행됐고, 이렇게 발행된 테더는 대부분 대형 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로 옮겨졌다고 전했다. 이후 비트코인 가격 하락 시, 비트파이넥스 등 거래소에 보관된 테더는 비트코인을 구입하는데 쓰여 시세를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비트코인은 지난해 연말에 2만 달러까지 가격이 치솟을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비트파이넥스가 테더의 대량 발행으로 비트코인 시세를 조작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자 지난 1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테더사와 비트파이넥스에 소환장을 발부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얀 루도비쿠스 반 데르 벨데 비트파이넥스 최고경영자(CEO)는 “비트파이넥스와 테더는 이 같은 시장이나 가격 조작에 참여하지 않았다”며 의혹을 일축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핀 교수는 로스엔젤레스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테더와 비트파이넥스는 이 같은 방식으로 공조했을 것”이라며 “많은 시장을 봐왔고 시장 내에서 가격 조작이 있을 경우 반드시 데이터상에 어떠한 흔적을 남기게 마련인데 테더와 비트코인 데이터는 이같은 가격 조작 가설에 거의 맞아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http://news.newsway.co.kr/view.php?tp=1&ud=2018061408160471566&md=20180614081920_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