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talk.co.kr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 cointalk2 | cointalk.co.kr report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 cointalk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talk2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2:57

본문




Download :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hwp




이를 모태로 45년 9월 10일 제주도 건국준비위원회(위원장 吳大進)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들어오자마자 일제하 제주도청으로 사용하였던 건물에 그대로 군정청을 설치하고 군정장관에 스타우드 소령, 법무관 존슨 대위(차기 패트릿지), 정…(skip)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인문사회레포트 , 해방 이후 시위 직전까지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설명














다. 연말에 이르기까지 부녀위원회, 교육자동맹, 소비조합, 관리조합, 협동조합, 제주문화협회 등 각종 외곽단체가 광범위하게 조직되었다. 한림면 청년동맹의 결성을 위시하여 9월말에는 각면의 청년단체를 총망라한 통일기구로서 ‘청년동맹 제주도위원회’가 조직된다 10월초에는 조선공산당 제주도위원회가 결성되었는데, 제3차 조선공산당사건(1928년)에 연루되어 투옥된 바 있던 金正魯가 주도하였다고 한다. 이 결과 제주도는 1945년- 46년 사이에는 인민위원회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었다.
미군이 제주도에 진주한 것은 해방된지 44일만인 45년 9월 28일 이었고 실질적인 군정업무를 담당할 제59군정중대가 도착한 것은 11월 10일 이었다. 제주도는 아직 日本 군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지 못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민은 일제하 민족해방운동의 조직 경험과 방법을 토대로 자치적인 치안조직 및 행정·경제조직의 결성에 착수하였다.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Download :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hwp( 72 )


순서
해방,이후,시위,직전까지,제주도,상황과,조선공산당,활동,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1. 8?15 해방 - 1947년 3?1시위 직전의 제주도 정치?사회 상황

일제의 항복이 발표 결정되었으나, 제주도에 남아 있던 日本 군이 철수하기 처음 한 것은 태평양전쟁이 끝난 지 68일이나 지난 1945년 10월 23일부터였다.
우선 도민을 방어하기 위한 자위기관으로서 자주적으로 청년대나 보위대를 편성하였으며, 관공서, 학교, 기업체 등에서는 ‘--- 관리위원회’ ‘--- 복귀위원회’를 만들어 도민들의 손으로 접수·관리·운영되었다.
이것과 병행하여 청년·부녀·문화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제주읍 인민위원회’를 처음 으로 각 인민위원회가 조직되고 마침내 건준의 발전적 해체로 9월 22일 ‘제주도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전체 20,25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tal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