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진단과 치료00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4 10:32본문
Download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wp
사회의 가치관이 다양성을 존중하는 현대 사회에서 장애는 최소한 구별은 되어도 差別(차별) 받아서는 안 될 것으로 본다. 또한 다른 신체장애와 달리 외모상 보여지는 장애가 아니므로 더욱 비장애인의 오해의 소지가 많고 그에 따른 부모의 고충도 크다는 것에 주목하게 되었다.
(6) 사회성 훈련 적절한 행동은 칭찬해 준다. 이번 주제를 통해 광범위한 장애에 대한 분류와 장애에 대한 인구학적 분포가 결코 예사롭지 않음을 실감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그에 따른 정책적 지원이나 국민의 장애인에 대한 의식 구조도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게 되었다.
(1) 부주의 또는 주의산만 조절
임혜숙∙송인섭 (1999) 부모∙교사를 위한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 서울;도서출판 상조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진단과 치료00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3) 과잉해동
4) 공격성
2) 교사의 역할
순서
(3) 수업은 지루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인 행동 수정 단계
(10) 소집단으로 학습과 대인관계의 기회를 제공한다. 광범위한 장애 유형 중에서 유독 발표자가 아동기 정신장애와 정신지체-자폐아,,ADHD를 다룬 이유는 자폐증이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의 분류 속에 포함되어 있다가 발달장애의 한 분야로 독립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과 정확한 원인(原因)과 치료에 대한 보고가 확실하게 나와 있지 않으면서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차이가 이제는 이해되고 인정받는 시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김승국 (1990). 자폐 아동 교육. 양서원
설명
3) 우울증 4) 틱(Tics)장애/뚜레증후군
3) 보호자 상담 및 행동치료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2) 인지행동치료
4) 집중력 향상 및 사고력 향상을 위한 인지 프로그램
1) 학습 장애 2) 품행장애
1) 과잉행동
(4) 기분조절
(22) 부모와 교사가 opinion(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가정노트`를 사용한다.
5)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5) 양극성 장애 6) 수면장애
다.
1) 부모의 역할
2) ADHD 는 왜 생기는가?
ADHD치료개인프로그램, ADHD , ADHD 아동, ADHD의 진단,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5) 조직적이고 계획을 잘 세우도록 도와주는 훈련
6. ADHD치료의 개인프로그램
1) 얼마나 많은 아동들이 ADHD에 걸리는가?
나. 부모 훈련 프로그램의 목적
[사회복지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진단과 치료00





7. ADHD 아동 부모와 교사의 역할
로나윙(저) 신현순(역) (1984). 자폐아동 부모를 위한 지침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다.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나. 학급 내에서 ADHD 아동의 관리
2. ADHD와 함께 발생하는 질환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진단과 치료00
가. ADHD 아동에 대한 부모의 역할 및 부모훈련 프로그램
(2) 충동성 조절
3) 충동성
5. ADHD의 치료
3. ADHD의 증상 및 행동特性
이상복∙이상훈∙이효신 (1997).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의 행동 지도 방법, 경북;대구대학교 출판부
3) 인지적 행동 수정 훈련
(2) 짧게 여러 번 수행할 수 있도록 해결해야할문제를 나누어준다. ADHD 아동을 위한 교실 프로그램
4. ADHD의 진단
다.
reference
Download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wp( 19 )
2) 주의력 결핍
대한신경정신의학회(1997): 신경정신과학. 하나의학사
2) 행동요법에 의한 치료
라. 증상별 대처방법
장애는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차이성이다.
1) 놀이치료
(15) ADHD 학생의 엉망인 글씨가 아동의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지 않는다. 1.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신경정신의학. 하나의학사. 1997
위 reference(자료) 요약요점 잘되어 있으니
가. ADHD 아동에 대해 교사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사전지식
1) 약물요법에 의한 치료
5) 교우관계에서의 어려움
(1) 휴식시간에 부가적 약속을 정한다.
(4) 행동과 규칙을 구체적으로 약속하고 그 보상에 일관성을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