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09 05:35
본문
Download : 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hwp
경험은 위대한 교사이지만, 인간유기체는 너무 복잡해서 학습된 모든 것이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의 결과일 수는 없다.
3.주요槪念 …(drop)
설명


순서
다. 대리강화(vicarious reinforcement)는 사회학습 이론(理論)적 접근에서만 나타난다. 동기유발에서는 직접강화와 대리강화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특히, 잠재적인 학습자가 다른 사람이 강화 받는 행동을 observation하고 자신도 그러한 행동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반두라,인지적사회학습이론,사회학습이론,반두라,교수,학습이론,Bandura,인문사회,레포트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레포트/인문사회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인문사회레포트 , 반두라 인지적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반두라 교수 학습이론 Bandura
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Download : 반두라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hwp( 50 )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理論)
1.인지적 사회학습이론(理論) 주요내용
2. observation학습의 구성요소
3.주요槪念
- 상호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
-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理論)
1.인지적 사회학습이론(理論) 주요내용
- 행동과 environment(환경) 뿐만 아니라 인지도 발달에 중요한 요인
- 사회적 environment(환경) 과 아동의 인지능력이 학습과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 강조
- 아동행동의 변화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observation함으로써 학습됨
- observation학습(observation) : 다른 사람의 행동을 observation함으로써 발생하는 학습에 초점 모방(imitation), 모델링(modeling). observation학습을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인지적으로 재현하고 때로는 그러한 행동을 한다. 대리강화는 잠재적인 학습자가 다른 사람이 강화 받는 행동을 observation하고 자신도 그러한 행동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의, 기억, 운동재생, 동기유발 네 가지 과정이 필요하며, 한 과정이라도 빠지면 사회학습이론(理論)의 모형은 불완전하여 성공적인 모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사회학습 이론(理論)가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observation함으로써 그들의 행동, 사고, 감정을 습득한다고 믿으며, 이러한 observation은 아동발달에서 중요한 부분이 된다 즉, 다른 사람의 행동을 observation함으로써 발생하는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것을 모방, 모델링이라고 한다.
2. observation학습의 구성요소
주의(attention)집중 과정
기억(memory) 파지과정
운동재생(motor reproduction) 과정 : 행동의 신체적 수행능력이 학습자에게 필요
동기유발(motivation) : 직접 강화 또는 대리강화의 형태를 취함.
직접 강화의 동기유발은 전통적 S-R모형이나 observation학습에서 제시하는 강화와 같은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