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talk.co.kr 적조 오염 현재상황 > cointalk5 | cointalk.co.kr report

적조 오염 현재상황 > cointalk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intalk5

적조 오염 현재상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00:58

본문




Download : 적조 오염 현황.doc





중앙에 큰핵이 있으며 형태의 變化(변화)가 심하다.
야광충이라 불리며 분해될 때 암모니아를 많이 생성한다. 이들 해역은 대규모 간척사업과 하구둑이 건설된 곳 이다.
-발생시기 : 봄~늦가을
-주발생해역 : 남해안 일원



Noctiluca scintillans
어류의 알과 같이 둥근 원형세포이며 세포가 15-~2,000
미크론으로 매우 크다. 외형이
나뭇잎처럼 생겼으며 크기는 20-50미크론이다.
-발생시기 : 늦봄~가을
-주발생해역 : 남서해 연안
-독성 : 암모니아

Gyrodinium fissum
남해안의 내만에서 적조를 일으킨다.
촉수가 한개 있으며 운동이 느린편이다.


Download : 적조 오염 현황.doc( 26 )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적조%20오염%20현황_doc_01.gif 적조%20오염%20현황_doc_02.gif 적조%20오염%20현황_doc_03.gif 적조%20오염%20현황_doc_04.gif 적조%20오염%20현황_doc_05.gif 적조%20오염%20현황_doc_06.gif










남해안의 넓은 해역에서 발생하며 남해안에서 일어나던 적조가 동해, 서해안에서도 발생하고 있은, 특히 서해안의 경우 1993년 부터 천수만에서, 1995년부터는 전북연안에서 적조가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1998년부터는 유해성 적조가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해성 적조가 해마다 봄과 가을에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아 그리고 대붐 역시 5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아

3.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

Gymnodinium sanguineum
세포가 오각형으로서 크기는 55~140 미크론이다.
-발생시기 : 여름철
-주발생해역 : 남해안 일원




Heterocapsa triquetra …(drop)
적조의定義(정의)와원인(原因)생물
설명


다.
전세계 연안에서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연안역과 기수역에서
자주 적조를 일으키며 늦봄에 상습 출현한다. 세포의 크기는 46-56미크론.
-발생시기 : 늦봄~여름
-주발생해역 : 남해연안과 기타 내만수역

Prorocentrum minimum
세포의 크기가 15-23미크론인 소형 와편모조류이다.
-발생시기 : 늦봄~가을
-주발생해역 : 진해만

Prorocentrum micans
남해안에서 가장 상습적으로 적조를 일으키는 종이다.적조 오염 현재상황

순서
적조 오염 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적조의정의와원인생물 , 적조 오염 현황자연과학레포트 ,

적조 오염 현재상황에 대한 입니다.
Gymnodinium속에서도 대형종에 속한다.
겨울철에도 가끔 적조를 일으킨다.
전체 20,32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intal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