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9 23:39
본문
Download :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hwp
이 시기는 민란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확대되어 후삼국의 분립으로 나가던 때였다. 그가 가장 의욕적으로 일을 해나갈 때라고 여겨지는 30대의 젊은 나이에 이루어진 것이다. 최영성, 최치원의 철학사상, 아세아문화사, 2001, 1면.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
최치원의 저술 가운데 四山碑銘(사산비명)은 그가 29세(885년)에 당으로부터 귀국한 이듬해부터 왕명을 받아 찬술하기 스타트해 37세(893년) 겨울에 이르기까지 완성한 것으로, 만 8년 동안 이루어졌다. 특히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국제적으로도 명성을 얻음으로써 ‘동국문종’ 또는 ‘동방문학의 개산조’ 등으로 일컬어져 왔음은 굳이 췌언할 필요조차 없다.
.
.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Download :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hwp( 41 )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설명
2. 최치원의 생애 및 사상관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순서
최치원의 사상관과 사산비명 - 지증대사비명을 중심으로
최치원은 신라 헌안왕 1년(857)에 출생하였는데, 삼국사기최치원전의 기록을 보면, 최치원은 왕경(王京) 사량부(沙梁部) 사람으로 자(字)는 고운(孤雲) 혹은 해운(海雲)이며 시호(諡號)는 문창후(文昌候)라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아 그러나 출신지에 대한 기록은 다음의 제설(諸說)이 있다아
신라 말기의 석학 孤雲(고운) 崔致遠(최치원, 857~?)은 철학사상 ․ 종교 ․ 문학 ․ 歷史(역사)학 등 여러 방면에 있어, 당시의 학구적 지성을 대표할 만한 우뚝한 존재였다. 곽승훈, 최치원의 china사 탐구와 사산비명 찬술, 한국사학, 2005, 38면.
본고는 최치원의 생애 및 사상관을 알아본 후 사산비명의 인용문헌과 문체를 분석한 후 지증대사비명의 특징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1) 당나라 유학과 정치적 불우와 은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