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11:00
본문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hwp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Download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hwp( 60 )
Ⅱ. 여음의 연구 및 정의(定義)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우리나라의 시가문학사상 가장 다양하면서도 풍부한 여음이 나타난 장르는 고려시대의 속요이다. 이 점에서 여음을, “표현이 된 내용을 기연機緣으로 해서 그것을 위요圍繞한 감정적 내용이 환전될 때 그 연훈緣暈적인 내용, 즉 명료한 의식내용을 싸고도는 불명료한 의식내용”이라 정의(定義)한 노철님의 견해는 타당하게 보인다. 침묵의 표현이기 때문에 한 작품의 여음은 그 작품의 유의적 사설 그 자체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처럼 다양한 여음이 생성 발전하기까지는 반드시 특별한 연유가 있었으리라고 본다. 그는 여음의 의미, 발생, 분류 등의 논의로부터 고대의 여러 시가에 나타난 여음의 제양상을 살펴 보고, 이들의 음수율과 음운, 형태, 어감 등을 상세히 고찰한 바 있따 또
설명
따라서 시가에서 말하는 여음이란, 그 자의가 나타내는 ‘끊어지지 않고 오래 이어지는 남은 소리’로서의 정의(定義) 뿐 아니라, 작품으로 표현된 시상이 시작되면서 요약될 때까지의 충격과 야기되는 작가의 정서와 호흡, 다시 이것이 요약된 후 시상을 둘러싸고 맴돌면서 후렴에까지 지속된 여정, 그 전부를 가리킨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보다 본격적이고 종합적인 여음 연구는 황희영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는 양주동을 비롯하여 김형규, 박병채 등 여러 사람의 논의가 있었다.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우선 여음의 의미 파악에 착안한 주석적 연구이다.
지금까지 속요를 중심으로 한 여음 연구는 대략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따





이상의 것을 종합하면, 여음의 정의(定義) 은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이라고 結論(결론)지을 수 있따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
다. 그것은 오직 작품을 관조하는 데서 우러난 시인의 시정詩情에서만 이해되는 것이다.
Ⅱ. 1. 여음의 정의(定義)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
Ⅱ. 2. 여음의 연구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
순서
여음이란 문학 작품으로 말하면 시의 중심인 테마를 둘러싸고 그 시의를 한층 더 완곡하게, 원의를 보다 절실하게 해 주는 여정餘情을 담은 소리라 할 수 있따 다시 말하면, 원의를 둘러싼 말할 듯하면서 말하지 않는 우묵沋黙이라 보겠다. 이 시대의 노래는 그 형식이나 내용이 매우 세련되고 정제되었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작품에 수반된 여음으로 인하여 속요의 가치와 예술성이 한결 고양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따 속요의 연구는 내용면에 중점을 두면서 형식적인 면은 소홀히 취급되어온 사살이 드러나고 있따 특히 속요의 여음에 대하여는 별로 관심이 보여지지 않았고, 여기에 담긴 의미를 찾는 작업마저 부질없는 일이라 보는 사람조차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 시가의 여음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간략히 살핀 다음, 그 동안 소홀히 다루어졌던 여음의 유형과 기능을 중심으로 전개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