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0:30
본문
Download : 잡가 연구.hwp
정재호, 「잡가고」, 「잡가집의 계열 구분과 그 성격」, 「잡가집의 성격과 문학적 의의」등의 논문이 『한국속가전집』(다운샘, 2002)에 수록되어 있다아
Download : 잡가 연구.hwp( 18 )
잡가 연구
.
고미숙, 「대중가요의 선구, 20세기 초반 잡가연구」, 『역싸비평』, 1994.
그 이후 잡가에 대한 연구는 초창기와 마찬가지로 잡가의 정의(定義) 과 장르적 속성을 밝혀내는 방향으로 진행되다가, 노미원, 「1910년대 유행한 잡가의 한 고찰」, 한국정신culture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6.
최상수, 「잡가의 장르적 성향과 수용양상」,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6.
박애경, 「잡가의 정의(定義) 과 범주의 문제」, 『한국시가연구』13, 한국시가학회, 2003.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다. 발생 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문헌의 기록상으로 19세기 전후라고 할 수 있고, 20세기를 지나면서 점점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잡가는 그 명칭에서도 보이듯이 雜이라는 용어로 인하여 그동안 시가사에서 하나의 갈래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지 못하다가, 최근 들어 여러 연구자들이 다각도로 접근해 나가면서 그 존재 가치가 드러나고 있다아 하지만 여전히 그 정의(定義) 정립의 문제, 범주의 문제 등 하나의 시가 갈래로서는 인정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잡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설명
<목 차>
최원오, 「잡가의 교섭갈래적 성격과 그 이론화의 가능성 검토 시론」, 『관악어문연구』19, 관악어문연구회, 1994.





잡가 연구
최근에는 잡가의 언어 텍스트 그 자체에 주목하여 사설의 시적 형상화와 구성의 원리 등에 대해 주목할 만한 견해들이 제
Ⅰ. 서론
Ⅲ. 존재양상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잡가 연구 <목 차> Ⅰ. 서론 Ⅱ. 개념과 범주 Ⅲ. 존재양상 Ⅳ. 내용적 특성 Ⅴ. 결론
잡가 연구
잡가에 대한 초창기 연구자들은 잡가의 정의(定義) 을 정립하는 데에 주목하였다.
Ⅴ. 결론
Ⅱ. 개념과 범주
조윤제, 김사엽, 고정옥, 이병기 등이 초창기의 연구자들인데, Ⅱ장에서 잡가의 정의(定義) 을 다룰 때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볼 예정이다. 다음으로 정재호에 의해 잡가의 독자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______, 「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 『18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시가사의 구도』, 소 명출판사, 1998.
잡가 연구
순서
대중가요의 한국적 기원으로 잡가가 주목되면서 잡가 연구의 폭이 확대되었다.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7.
Ⅳ. 내용적 속성
잡가는 도시의 대중이라는 대규모의 청중 앞에서 전문적인 소리꾼들이 부른 노래로서 여러 문학 갈래와 교섭양상을 보이는 시가이다.
.
그렇다면 이러한 잡가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 후에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 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