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文化(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0:09본문
Download :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문화.pptx
북한에서 민족 최대의 명절은 김일성김정일 생일날이다
북한에서는 추석 당일 날만 명절을 쉰다
_SLIDE_8_
Contents
01
북한의 추석
02
남북한의 추석(공통점,차이점)
03
북한 추석의 풍습
04
북한 추석의 음식
_SLIDE_9_
북한 추석의 풍습
북한의…(省略)
레포트/생활전문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문화 ,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문화생활전문레포트 , 북한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문화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文化(문화)
설명
다.
그네뛰기, 윷놀이, 씨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기다가 저녁에는 달구경을 하면서 소원을 빈다.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文化(문화)
순서






북한,추석,명절과,풍습,음식문화,생활전문,레포트
Download :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문화.pptx( 63 )
_SLIDE_1_
북한의 추석 명절과 풍습, 음식文化
_SLIDE_2_
Contents
01
북한의 추석
02
남북한의 추석(공통점,차이점)
03
북한 추석의 풍습
04
북한 추석의 음식
_SLIDE_3_
Contents
01
북한의 추석
02
남북한의 추석(공통점,차이점)
03
북한 추석의 풍습
04
북한 추석의 음식
_SLIDE_4_
북한의 추석
북한 추석 기원
추석을 쇠지 않았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공휴일로 정했다
중추절(中秋節), 가배(嘉俳), 가위, 한가위라고도 한다
사회주의 생활양식과 어긋난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formula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민족 고유의 명절을 큰 명절로 지내지 않음
_SLIDE_5_
Contents
01
북한의 추석
02
남북한의 추석(공통점,차이점)
03
북한 추석의 풍습
04
북한 추석의 음식
_SLIDE_6_
남북한의 추석
남한과 북한의 추석 명절 공통점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하는 것을 중요한 전통으로 여기고 있다 남한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일부 주민들은 복잡한 한가윗날을 피해 1주일 먼저 성묘를 다녀오기도 한다.
_SLIDE_7_
남북한의 추석
남한과 북한의 추석 명절 차이점.
남한에서의 추석은 설날과 함께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을 전후로 3일을 쉰다
북한에서는 그저 ‘민속 명절’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