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17:27
본문
Download :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hwp




2. 지(知)와 행(行)을 통한 덕성함양 교육
.
설명
유학의 기본서라고 할 수 있는 『논어』에서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의 문제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자, 『논어』를 비롯한 유학 사상의 근본 원리라고 할 수 있따 이 주제는 『논어』의 ‘학이’1장을 통해 다루고 있으며, 후대의 여러 학자들이 중요하게 다뤄온 만큼 이 주제를 바라보는 관점 또한 다양하다. 그러므로 윤리교육의 목표를 ‘도덕적 본성의 함양’으로 삼을 수 있겠다. 유학의 대표 사상인 공맹사상에서는 덕성함양 교육의 원리로 지(知)와 행(行)을 제시한다.” 서은숙, 『동양윤리교육론』, 한국학술정보, 2007, p.55.
지와 행 중 어느 것이 앞서는 것인가, 혹은 어느 것이 더 중요한 것인가 하는 논쟁은 끊임없이 제기되어왔다. “지(知)는 인간으로서 지켜야 하는 당위적 이치에 관한 도덕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 소위 지육(知育)이고, 행(行)은 ‘된 사람’을 만들기 위한 성정함양과 성찰적 태도의 교육, 도덕 실천을 모두 포함하는 소위 덕육(德育)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동양윤리교육에 있어서도 앎과 행의 문제는 교육 방법의 면에서도, 교육 내용의 면에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따 앎과 행함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본성을 함양하는 것이 윤리 교육의 목표이므로 지와 행은 교육적 측면으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따 여기에서는 제시된 문헌의 요약을 통해 지와 행을 통한 윤리교육, 그리고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에서 바라본 『논어』의 ‘학이’ 1장에 나타난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의 의미와 내용, 그 지향점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먼저 알고난 다음에야 행할 수 있다는 ‘선지후행’ 理論(이론)은 주자학의 기본논리며, 앎과 행함이 근원적으로 같다고 주장하는 ‘지행합일설’은 양명학을 바탕으로 한다.’ 즉 행한다면 안다고 봐야한다고 주장하므로 두 견해는 지와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다. 그러나 주자가 ‘지의 표현이 행이다.’ 즉 알면 자연스럽게 행으로 표현된다고 주장하고, 왕양명이 ‘행의 논리적 과정이 지이다.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
Download :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hwp( 43 )
.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2.1. 덕성함양 교육의 원리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앎과 행함 및 배움과 익힘, 그리고 가르침
윤리교육의 목표는 한마디로 ‘덕성함양’이라고 할 수 있따 인간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성선설, 성악설 등 여러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윤리 교육의 목적을 도덕적 인격의 완성으로 본다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한다.